REASEARCH
정자의 운동성 및 수정능력 획득 조절기작에 대한 연구
정소에서 생성된 정자는 운동성과 수정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자 세포막 및 세포내 변화를 통해 운동성과 수정능력을 획득하게 된다. 본 연구실에서는 glycogen synthase kinase 3에 의한 정자 운동성과 수정능력획득에 관한 기작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정자형성과정, 혈액-정소장벽 및 인공정소
정자형성과정에 중요한 정원줄기세포와 Sertoli cell 밀착결합 유전자 발현 및 Leydig cell의 영향, 환경독성 인자에 의한 구조와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Sertoli cell과 세포외기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세정관 조직재구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남성생식세포와 Sertoli cell 공동배양(co-culture)을 통해 체내조건과 유사한 인공정소를 구축하기 위한 조직공학적 연구를 수행 중이다.정원줄기세포(Spermatogonial stem cell)의 자가재생 및 분화 연구
생쥐 정원줄기세포의 자가재생 및 분화에서 GDNF (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FGF2 (Fibroblast growth factor 2) 등의 성장인자의 분자생물학적인 역할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한 정원줄기세포의 In vitro배양을 최적화 하고 체내조건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인공정소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레이디세포(Leydig cell)에서의 Egr1 전사인자 및 p57Kip2의 기능, 작용기전 규명
1. Leydig cell에서 Egr1 전사인자의 기능 규명 : 기존 연구에서는 정원줄기세포에서 GDNF에 의해 유도되는 전사체의 일부가 알려져 있지만, 이들 유전자가 Egr1을 경유하는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Egr1이 GDNF에 의한 정원줄기세포의 운명결정 및 정원줄기세포의 특성 유지에 필요한 많은 전사적 사건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지에 대한 규명 실험을 진행한다.
2. 성체 Leydig cells의 발생과 기능적 분화과정에서 p57Kip2의 기능 및 작용기전 규명 : 남성호르몬을 생성하는 Leydig cell의 발생과 분화 조절기작은 생식소발생학 및 생식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p57Kip2는 정소의 Leydig cell에서 발현하지만 그 기능은 미규명 상태이므로 p57Kip2의 기능 규명을 통한 정소 기능의 이해를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설치류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생식독성 평가
환경호르몬 작용물질은 산업체와 생활분야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국민건강의 위협과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정상호르몬의 생산, 방출, 이동, 대사 등에 간섭하여 생식계 및 건강에 장애를 일으키게 되며, 이에 기존 플라스틱류나 세제류의 제조공정이 들어가는 환경호르몬의 독성평가 및 대체물질의 안전성 평가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TG407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을 통해 설치류에서의 화학물질 독성평가를 진행하여 이후 조직학적 독성평가, 혈액학적 분석, 각 실험군간의 유전자 발현량 및 단백질 발현량으로 영향 정도를 평가한다.양서류 배아를 이용하는 발생독성 평가
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FETAX) protocol에 따라 시험대상물질의 아프리카발톱개구리 배아에 대한 물질 및 농도별 생존율, 기형 발생율, 성장률을 산출하는 실험을 진행한다. 최종적으로 teratogenic index(TI)값을 산출하여 독성 효과를 유발하는 기작을 PCR, western blot, lipid hydroperoxide 분석 등을 동해 조사한다.양서류 유생을 이용하는 변태독성 평가
TG231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은 양서류의 변태가 갑상선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stage 51 유생이 stage 60 유생으로 변태를 진행한 정도에 근거하여 갑상선호르몬의 교란여부를 확인하는 시험법이다. 위 실험법을 사용하여 급성독성수준 이하 농도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변태 저해효과 분석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